오늘 소개해드릴 포스팅은 진입 장벽이 낮은 상위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.
국가기술자격증은 기능사-산업기사-기사-기능장-기술사 이렇게 나눠지는데요.
기능사 - 고등학교 수준
산업기사 - 전문대학 수준
기사 - 대학 수준
기능장 - 석사 수준
기술사 - 박사 수준
이렇게 설명드릴 수 있는데 이 부분은 간단한 설명을 위함이라는 것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.
또한 각각을 시험 보기 위해선 그에 대한 응시자격조건이 필요한데요. 전에 포스팅했던 Q넷 응시자격 자가진단 방법을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.
dragon-of-wisdom.tistory.com/3?category=894125
Q넷 응시자격 자가진단 방법 PC/모바일 [산업기사/기사/기능장/기술사]
취업을 위해 스펙을 쌓고 그러기 위해선 자격증 중 국가기술자격증이 필수라고 말하는 시대 인데요. 매번 자격증 취득을 위해 알아보면 내가 응시할 수 있나 잘 모르기 때문에 답답한 경우가 많
dragon-of-wisdom.tistory.com
본론으로 들어가서 진입 장벽이 낮은 상위 국가기술자격증이란 예를 들어 '기능사 시험을 보려고 하는데 그 상위 자격인 산업기사 자격증과 큰 갭 차이가 없다'. 또 '산업기사 시험을 보려고 하는데 그 상위 자격인 산업기사 자격증과 큰 갭 차이가 없다.' 이런 경우에는 각각 한 단계 높은 단계인 기능사는 산업기사 , 산업기사는 기사 자격증 시험을 보시는 게 더 유리하겠죠? 선임 자격의 차이가 있으니까 취업할 때 가산점을 받거나 혹은 연봉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오늘은 기능사의 상위 국가기술자격증, 산업기사를 추천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다음 포스팅에선 산업기사의 상위 국가기술자격증, 기사자격증 추천 및 자격증 취득을 위한 공부방법에 대해 포스팅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.
먼저 산업기사 입니다. 기능사와 난이도 면에서 큰 차이가 없지만 선임 자격이 주어지는 산업기사에는
바로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입니다.
이름만 들으면 낯선 분들도 있겠지만 가스, 에너지 관리 등과 같은 자격증과 비슷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 실제로 이런 자격들과 같이 얘기되고 있고요.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의 시험방법은 하위 자격증 공조냉동기계기능사와 거의 유사합니다.
시험 방법은 필기 실기 두 개로 나눠지는데
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
- 필기 : 객관식 4지 택일형, 과목당 20문항(과목당 30분)
1. 공기조화 2. 냉동공학 3. 배관 일반 4. 전기제어공학
- 실기 : 작업형(동관 작업 2시간 30분 정도, 필답형 동영상 1시간 30분 정도)
공조냉동기계기능사
- 필기 : 전과목 혼합, 객관식 60문항(60분)
1. 공조냉동 안전관리 2. 냉동기계 3. 공기조화
- 실기 : 작업형(동관 작업 2시간 정도, 필답형 동영상 1시간 정도)
산업기사와 기능사의 필기 및 실기의 큰 차이가 없고 공부 내용도 크게 다른 게 없습니다. 다만 다른 게 있다면 모든 산업기사가 그렇듯이 각 과목당 과락이 존재하는 것 빼곤 비슷합니다. 여기서 과락은 3가지 과목이 충분히 합격선인데 1과목이 100점 만점에 40점 즉 20문제 중 8문제 미만으로 맞췄을 경우 과락이 되어 불합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. 이렇게 과락만 대비한다면 기능사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지만, 선임 자격을 얻을 수 있다는 큰 특징이 있는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.
다음 포스팅엔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의 필기 및 실기 공부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
더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신 분들께선 Q넷 사이트에서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에 대해 검색하시면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.
Q-Net 자격의 모든 것
www.q-net.or.kr
'취업 > 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Q넷 응시자격 자가진단 방법 PC/모바일 [산업기사/기사/기능장/기술사] (0) | 2020.09.21 |
---|